뉴스
home
이슈/사회
home

곽선희 씨 인터뷰 -생활쓰레기를 대하는 생각과 문제의식

이번 인터뷰의 목적은 지역의 생활쓰레기 문제에 대하여 하동군의 정책과 주민들의 생각을 공론화하고 개인, 공동체(마을), 지자체(하동군)가 지혜를 모아 올바른 방향과 방법을 찾는 데 있습니다.
1.
생활쓰레기(일반쓰레기, 재활용품,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본인의 생각과 태도는?
하루에 버리는 쓰레기 양이 너무 많다. 특히 과다한 포장은 쓰레기 처리 문제 발생 및 포장비용 등 경제적 손실이 크다.
2, 본인은 생활쓰레기 분리와 배출을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하동군에서 생활쓰레기 배출과 관련해 가장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 한가지는? 분리 배출은 잘하고 있으나 수거과정을 보면 분리수거가 제대로 되지 않는 걸로 보인다
3.
재활용품의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좋은 아이디어는?
피치 못해 일회용품을 쓰게 되면 씻어서 여러 번 재활용한다
4.
쓰레기문제는 개인뿐만 아니라 공동체, 지자체 등이 모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보는데, 쓰레기문제에 대한 좋은 방법을 찾기 위해 개인, 마을, 하동군에 바라는 사항은? 특히, 하동군에 어떤 부분을 요구하고 싶은가? (구체적으로)
재활용 쓰레기를 잘 분리수거해서 꼭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마을에서 배출된 재활용품을 마을에서 분리하고 관리한다면 이에 협조할 생각이 있는가? 이를 위해 하동군에서 지원할 사항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겠는가? (예를 들면 노인이나 공공일자리, 분리배출 시설 등)
협조할 생각 있음. 특히 농업용 쓰레기 처리가 절실하고 방법이 철저해야 한다고 생각함. 산과 들에 버려진 쓰레기 수거와 처리를 위한 공공근로가 필요하다. 농업용 비닐 가격에도 처리비용을 부과해서 농업용 비닐 사용을 줄이는 방법도 필요함. 비닐값이 저렴하여 과다 사용됨. 폐비닐 수거시 처리비용 돌려주기도 필요함.
6.
마을 이웃 중 거동이 불편하거나 차가 없는 노인분들이 생활쓰레기를 태우거나 집안에 방치하는 것을 목격한 적이 있는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인 당사자 말고 마을이나 하동군 이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은 어떤 것들이 있다고 보는가?
비닐 소각 방치 가끔 목격. 이웃끼리 신고하기가 어려움. 마을사람들이 아닌 외부 감시자가 필요함. 폐비닐을 모아오면 보상금을 지급하는 제도가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