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home
이슈/사회
home

이상윤씨 인터뷰 -생활쓰레기를 대하는 생각과 문제의식

이번 인터뷰의 목적은 지역의 생활쓰레기 문제에 대하여 하동군의 정책과 주민들의 생각을 공론화하고 개인, 공동체(마을), 지자체(하동군)가 지혜를 모아 올바른 방향과 방법을 찾는데 있습니다.
1.
생활쓰레기(일반쓰레기, 재활용품,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본인의 생각과 태도 는?
쓰레기에 대한 인식 전환이나 개선을 꾀해 보자. 응당 버려야 할 것들로 각인 된 쓰레기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폭넓은 인식전환이 필요. 재활용에너지 문제로 버려지는 것들을 바라본다면 그것을 대하는 주민들의 태도 가 달라지 지 않을까?
2.
본인은 생활쓰레기 분리와 배출을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하동군에서 생활쓰레기 배출과 관련해 가장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 한가지는?
분리 수거는 잘 하려고 노력 합니다, 하동군 쓰레기 처리장이 소각 처리 시설로 바뀌면서 총량을 줄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것 같다. 문제점을 하나만 지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여겨집니다. 쓰레기 처리하는 시민들의 태도,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에 맞춰야 하는 정책의 한계,,, 석유 시스템으로 만들어 내는 건축 부자재 투기, 가공 식품류, 농업상품 생산과 유통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폐기물 발생... 아파트 지역의 분리 수거 시스템과 비교되는 단독 주택지나 농촌 마을의 수거장, 주민의식 미비 ... 무엇부터 손대야 할까? 답이 뭘까 저 역시 모르겠네요..
3.
재활용품의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좋은 아이디어는?
재활용에너지 자원으로 쓰레기 인식 전환과 실질적인 수익구조 만들기 필요. 예를 들어 일본의 산촌 마을이 에너지 순환장이 되어 리사이클링 에너지, 사무실 공유공간, 생태관광을 접목한 사례들이 있으니 하동지역에 맞는 에너지 순환 처리장을 구축하는 게 좋겠네요.
4.
쓰레기문제는 개인 뿐만 아니라 공동체, 지자체 등이 모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보는데, 쓰레기문제에 대한 좋은 방법을 찾기위해 개인, 마을, 하동군에 바라는 사항은? 특히, 하동군에 어떤 부분을 요구하고 싶은가? (구체적으로)
쓰레기 처리 방식을 지역과 광역 시스템으로 이원화하면 어떨까요? 면 단위에 에너지 재활용센터를 만들어 주민들이 배출하는 쓰레기를 면단위에서 1차 처리 하고 분리된 재활용 에너지 자원을 마을별로 연말 현금화하는 제도를 적용하는 방식을 활 성화시키고, 소각 쓰레기(쓰레기 봉투 배출)는 주 1회 마을별로 수거하면 어떨지... 재활용 (쓰레기분리수거) 일자리를 만들어 면단위 쓰레기 분리작업하여 재활용률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
예를 들어 악양면의 경유 면사무소가 이전을 하면 기존 면서무를 악양에너지 재활용 센터로 운영하고, 그것을(센터)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일자리도 만들고, 다양한 형태로 재활용품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방향을 찾아보면 어떨지...
5.
마을 이장으로서 마을에서 배출된 일반쓰레기와 재활용품을 관리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본적이 있는가? 특히 배출된 재활용품을 마을에서 분리한다면 마을 주민들의 반응과 협조는 어떠할 것이라 보는가? 그리고 인력(노인 일자리 등)과 시설지원(분리배출함 등) 등 예산지원의 필요성은?
마을에서 쓰레기를 분리 배출하는 문제는 누군가 활동을 해야 한다. 매계마을에서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교육도 하고. 분리 수거장, 세제류 리사이클링을 실시하고 있지만, 현재 는 리사이클링은 상시 운영, 쓰레기 분리수거는 잠정 중단된 상태... 그 이유는 밤에 몰래 분리수거장에 쓰레기를 무단 투기하는 사례가 생긴 것. 마을별 분리수거장을 설치 운영하려면 월 7일 정도 일하는 일꾼을 두어야 하고, 마을 주민 들에게 쓰레기 분리 배출요령, 기후위기대응 교육과 실습이 반드시 필요하다,
6.
마을이 노령화된 상태에서 마을 노인분들이 거동이 불편하거나 차가 없어 생활 쓰레기를 집 안에 방치하거나 태우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을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있 는가? 하동군의 어떤 지원이 필요한가?
쓰레기 소각 문제는 산불 발생 이후 징벌적 손해를 입지 않기 위해 조심하는 편. 습관적으로 태우는 비닐류는 손쉽게 버릴 수 없기 때문에 모았다가 태우는 경우가 생기는듯... 이번에 행정에서 농업폐기물 수거일을 정해 일괄적으로 수거한 것 같이 농한기 산불감시요원을 뽑듯이 농경지 농업폐기물 수거반을 운영하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