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산악열차 반대대책위’ 2년여의 일인시위 끝내고 천막농성 돌입
지리산 산악열차 반대대책위(대표 박남준, 이하 대책위)는 3월 14일부터 ‘지혜와 평화를 바라는 농성’이라는 이름으로 천막농성에 들어갔다. 대책위는 2년여 동안 313회에 걸쳐 군청 앞, 악양면사무소, 화개장터에서 하동군이 추진하는 ‘알프스프로젝트’ 백지화를 요구하며 일인시위를 벌여왔다.
지역사회단체와 주민들로 구성된 대책위는 ‘일인시위’ 외에도 ‘형제봉 산상시위’, ‘서울 국회앞 농성’과 ‘대림본사앞 집회’ 등 ‘알프스하동프로젝트’의 추진을 막기 위해 전력을 다해왔다.
‘알프스하동프로젝트’는 하동군이 화개·악양·청암면 3개 지역 산 정상부에 모노레일 2.2km, 케이블카 3.6km, 산악열차 12km를 설치하고 3개 역에는 호텔 등 위락시설을 조성하려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1650억 원으로 민간투자 1500억, 공공 150억이 투입되는 대형 사업이다. 2019년 4월 민간투자자인 (주)삼호(현 대림건설)는 하동군과 사업 추진 양해각서를 체결했지만 이후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로 해지했다.
대책위가 이 사업을 반대하는 이유는 우선 생태계 파괴에 대한 우려다. 사업대상지인 형제봉 일원은 개발 대상이 아닐 뿐더러 환경부가 ‘생태자연도’ 1등급지로 지정할 만큼 보전 가치가 높은 곳이다. 또한 사업 대상지 일대에는 천연기념물인 반달가슴곰이 서식하고 있다. 산 정상부를 개발하는 대규모 사업인만큼 심각한 생태계 파괴와 환경 훼손은 피할 수 없다는 게 대책위의 주장이다.
또한 이 사업이 하동의 경제를 살리는 “백년 먹거리”라고 하동군은 주장하지만 공공자금이 투입되는 모노레일 사업은 이미 2017년 중앙투자심사위에서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 등으로 조건부 반려 결정이 났다. 1650억의 원금을 회수하는 시간만도 백년이 걸릴지 모르고 민간투자자조차 사업성이 없다고 계약을 해지할 정도면 언제 이익을 낼 수 있을지 알 수 없다는 것이 대책위의 판단이다.
기재부가 “원점에서부터 주민 의견의 충실한 수렴과 주민 간 갈등을 해결할 것”을 하동군에 권고했지만 하동군수는 대책위와의 만남을 한 번도 수용하지 않았다. 하동군은 2020년 시작한 알프스하동프로젝트 실시설계 용역을 2022년 4월 준공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5월에 주민공청회를 열어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용역 등의 행정 절차를 마무리하는 대로 새로운 민간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하동군청 앞에서 ‘지리산 산악열차 백지화’ 농성 중인 대책위
3월 14일 오전 10시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56일 간의 농성에 들어간 대책위는 군청 앞에서 아침 7시 30분부터 저녁 6시 30분까지 농성과 시위를 진행한다. 최지한 대책위 집행위원장은 이번 농성을 통해 6월 1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군수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들에게 사업 백지화를 공약으로 채택할 것을 요청하고, 군수 당선인이 공식적으로 사업 백지화를 선언하도록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