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민이 관광으로 얻는 이익은 어느 정도인지 살펴본다. 사기업이나 소수만이 얻는 이익이라면 관광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
2019년 하동군을 다녀갔다는 780만 명의 관광객이 한 끼 식사로 1만 원을 썼다면 7백8십억의 관광수익이 생긴다. 숙박, 식사, 입장료 등으로 하루 10만 원을 썼다면 7천8백억! 하동군 전체 예산에 버금가는 어마어마한 금액이다. 과연 그만한 돈이 하동에 들어왔을까?
하동 관광객 소비 유형 중 96.1%가 식음료 소비
한국관광공사의 관광특화 빅데이터 플랫폼인 「한국관광데이터랩」(https://datalab.visitkorea.or.kr)에서는 이동통신, 신용카드, 내비게이션 등을 이용하여 지자체별 방문자규모, 관광활동유형, 소비규모를 보여주고 타 지역과 비교분석을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곳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 하동군을 찾는 관광객의 ‘신용카드 소비액 유형별 분포’(2021년 1월부터 6월 자료)를 살펴보자.

가장 많은 소비유형인 식음료를 좀 더 세분하여 분석한 자료를 보면 한식 37.9%, 카페 등 34.7%, 전통찻집 10.9%의 순서로 분포되어 있다. 숙박업의 경우 펜션이 34.3%, 콘도나 리조트가 26.2%, 캠프장이 16.7%, 모텔이나 여관 15%, 민박 2.1% 순으로 분포되어 있다. 또한 ‘방문 및 체류추이’ 내역을 살펴보면 1월부터 6월까지 하동을 방문한 사람들의 평균 체류시간은 약 300여 분이다.
이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한다면, 하동 방문객들은 5시간 정도 하동에 머물면서 맛집이나 전망 좋은 카페를 찾아가 식음료를 즐기는 형태의 관광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관광객의 소비는 하동의 경제에 얼마나 비중을 차지할까?
실질적 관광수익인 ‘숙박 및 음식점업’이 하동경제지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고작 1.6%
하동군의 지역 내 총생산(GRDP: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을 살펴보자.
GRDP란 각 지역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가 발생하였는가를 보여주는 경제지표로 시군별 GDP라고 볼 수 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하동군의 GRDP는 평균 약 2조 2천억 원 정도이며, 2016년 이후 감소추세이다. 이 중 직접적인 관광수입이라고 볼 수 있는 숙박 및 음식점업의 GRDP는 평균 3백6십억 원 정도로 하동군 지역 내 총생산에서 1.6%의 비율을 차지하는데, 같은 기간 동안 정체나 답보상태에 있다.

윤상기 군수의 인터뷰(2017. 6월)에 따르면 2015 ~2017년 사이에 관광객은 500만 명에서 650만 명으로 30%나 폭증했고 2019년에는 780만(2020. 1월 인터뷰) 명에까지 도달했는데 관광수익이 거의 늘지 않았다는 것은 매우 이상한 일이다. 하동을 찾은 관광객이 하루에 딱 만 원씩만 지출했다는 매우 비현실적인 가정을 해도 관광수익이 최소 500억(2015년)에서 650억(2017년)으로, 2019년에는 780억으로 증가해야 마땅한데 이 기간 동안 관광수익이 변함없이 360억 안팎에서 정체되어 있는 기묘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하동을 찾는 관광객들이 지독한 자린고비이거나 아니면 하동군이 허황된 집계로 군민을 현혹시키고 있거나, 답은 둘 중 하나일 것이다.
과장된 근거, 부풀려진 희망, 과연 지역주민들에게는 무엇이 남는가?
관광산업, 과연 하동의 100년 먹거리인가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