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home
이슈/사회
home

군수·군의회·정당책임자에게 12.3 비상계엄사태 관련 질의서 보내

<오하동>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하여 하동군의 책임있는 정치지도자들의 입장과 의견을 듣고자 지난 12월 19일 오른쪽과 같은 질의서를 보냈다.

< 질 의 서 >

12.3 비상계엄과 함께 공포된 계엄포고령 1호는 “국회와 지방의회, 정당의 활동과 정치적 결사, 집회, 시위 등 일체의 정치활동을 금한다.”고 규정하여 그 위헌성과 불법성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1.
지방정부의 수장(군의원)으로서 12.3 비상계엄 선포 및 계엄포고령에 대한 군수님(군의원님)의 입장은 무엇입니까?
2.
12.3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으로 초래된 현재의 혼란을 조속히 해결할 방안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3.
12.3 비상계엄으로 귀 지방정부가 계엄사령부 혹은 중앙정부로부터 (1) 요구받은 후속 조치가 있습니까? (2) 있다면 무엇입니까? (3) 있다면 그에 대해 어떤 대응조치를 취했습니까?
12.3 비상계엄과 탄핵으로 혼란과 불안에 빠진 하동군민들의 삶을 안정시킬 책임을 지닌 지방정부(군의회, 주요정당)의 책임자로서 성실한 답변을 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12월 24일까지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2024년 12월 19일 하동주민신문 <오하동>
1, 2번 질의는 공통질문으로 군수, 군의원, 정당대표자 모두에게, 3번 질의는 군수에게만 보냈다. 3번 질의는 지난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후 강원도 양구, 고성 등 지자체에 무장 계엄군이 난입한 사태와 관련하여 하동군에도 계엄과 관련된 별도 지시가 있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군의원과 정당책임자 단 3명만 답변을 보내와

그러나 <오하동>의 질의에 대해 2명의 군의원과 1명의 정당책임자만이 답변을 보내왔다. 온 나라를 뒤흔들고 있는 국가적 중대사에 대해 총 14명(군수 1인, 군의원 11인, 정당책임자 2인)의 정치지도자 중 단 3명만이 자신의 의견을 밝힌 것이다.
<오하동>은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으로 혼란한 상황 속에서 하동의 책임있는 정치지도자로서 군민들에게 자신의 견해를 뚜렷이 밝히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에 <오하동>은 답변기한을 연장하여 질의서에 대한 답변을 받은 후, 관련 내용을 보도할 예정이다.
군수, 군의원 등의 책임있는 답변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
하동주민신문 <오하동> 편집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