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송산단 내 하동LNG발전소 건설사업이 백지화되었다. 지난 7월 4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는 하동군이 신청한 대송산단 개발계획 변경신청 심의결과를 ‘보류 결정’하였다. 이번 결정으로 대송산단에는 발전소가 들어올 수 없게 되었다. 산자부의 보류 결정의 근거는 경제성이다. 전기를 사용하는 곳에서 거리가 먼 곳에 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은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정부의 ‘발전소 건설사업 추진현황’에서도 하동LNG발전소가 삭제되었다. 2023년도 4분기까지 ‘건설 예정 사업’에 있었던 ‘하동LNG발전소 1호기’가 2024년도 1분기에서는 없어졌다. 자료를 작성한 전력거래소 담당자는 “해당 자료는 사업자 제출 자료로 작성하는데, 올해 한국남부발전이 제출한 자료에는 하동LNG발전소가 없었다.”고 했다. 한국남부발전의 하동LNG발전소 백지화에는 산자부의 결정이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LNG발전소 부지 면적은 18만㎡이다. 대송산단 산업용지 분양면적(80만 9791㎡)의 22%에 이른다. 발전소 유치로 대송산단 분양난을 해결하려던 하동군의 계획이 어려워졌다. 갈사산단의 배후단지로 계획된 대송산단은 갈사산단이 중단되었는데도 건설되었다. 전문가의 말대로 ‘갈사산단만 바라보고 지은 대송산단은 불리한 입지 여건과 높은 분양가’때문에 분양이 어려운 것이다. 그렇다면 대책은 무엇일까? 그것은 지금이라도 사업 실패를 인정하고 관련자에 대한 법적·정치적 책임을 묻고, 이 같은 일이 다시 벌어지지 않을 대책을 세우는 것이다.
LNG발전소가 백지화된 가운데, ‘되지도 않을’ 산단 분양보다 급한 것은 현재 석탄발전소 노동자와 관련 종사자들의 고용 보장을 위한 노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