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home
이슈/사회
home

대송산단 분양, ‘계획’ 또 변경

지난 1월 7일,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하동지구 관리기본계획 변경(7차)’이 고시되었다. 고시의 내용은 분양계획 변경이다.
2009년 시작된 대송산단 개발사업은 대부분이 아직도 ‘조성 중’이다. 이 때문인지 분양된 면적(경남QSF, 6만 2712㎡)은 전체의 7.7%에 불과하다. 결국 분양이 어려워지자 하동군이 이번 계획 변경을 통해 일부 구역을 ‘분양’이 아닌 ‘임대’로 바꾸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물론 문제는 분양되지도 않을 산업단지를 무리해서 만든 하동군의 ‘원죄’에 있다.
땅이 가라앉아 갈라진 대송산단의 도로

16년 동안 18번 계획 변경, 아직도 공사 중

지난 2월 4일, 대송산단 준공 및 개발기간 변경을 위한 실시계획 변경 고시도 있었다. 이번 변경 고시는 18차인데, 대송산단 개발이 시작된 2009년부터 지금까지 16년 동안, 18번이나 계획이 변경된 것이다. 16년 동안 18번이나 계획이 변경되었음에도 대송산단은 아직도 ‘조성 중’이다. 결국 일괄 준공이 어렵다고 본 하동군은 ‘대송산단을 두 구역으로 나누어 준공하기로 했고, 승인을 받았다.’ 는 것이 고시의 내용이다. 이 같은 노력에도 개발기간 내 준공이 불가능하여 개발기간도 2025년 12월 31일까지로 1년 늘렸다.
하동군은 대송산단 조성 사업비 2788억 원 중 2260억 원을 민간자본을 유치해서 마련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민간자본으로 유치하겠다던 2260억 원의 ‘빚’을 아직도 갚고 있다. 최근 하동군은 많은 빚을 갚았다며 그 ‘업적’을 알리는 데 열심이다. 하지만 스스로 ‘업적’을 알리는 것보다는 ‘원죄’ 인정과 재발방지 약속, 그리고 빚을 갚은 돈이 어디서 난 것인지, 즉 어떤 예산을 ‘깎아서’ 갚은 것인지를 군민 앞에 먼저 밝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