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복 논란 얼마나 되었다고…
10.29참사 이틀 뒤인 11월 1일, 정부가 지정한 국가 공식 애도기간임에도 불구하고 하동군의회 군의원 11명(국민의힘5, 더불어민주당4, 무소속 2)과 의회 사무과 직원 4명은 제주도연수를 강행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비난 여론이 들끓자 6명은 1일 오후 제주도에서 돌아왔고, 나머지 인원은 다음날인 2일에 복귀했다.
의회 측에서는 “가지 말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하동군에는 희생자가 없고 공부 연수인데 왜 못 가느냐는 의견이 있었다. 군민 세금으로 가는데 위약금도 문제였고, 한 달 전에 구한 호텔 예약도 연기가 안 된다고 했다”며 “조용히 공부만 하고 오자는 의견이 많아 떠났다”고 해명했다. 의장단에게 직접 해명을 듣고 싶었지만 일절 연락을 받지 않았고, 3일 의회 홈페이지를 통해 이하 옥 의장 이름으로 사과문이 게시되긴 했으나 팝업 창으로만 떠서 일부 사이트에선 볼 수조차 없었다.
하동군의회 연수 일정을 보면 3박 4일 동안 세 번의 강의(예산편성 심의 및 결산심사, 공직자 이해충돌 방지법 및 의원 정책연구회 운용, 소통과 도전 강의)와 두 곳의 견학(제주 A 농협 공동화사업장 5시간, 재활용 도움센터 5시간)이 있다. 여기에 4성 급에 준하는 숙박시설 숙박비를 포함해 2400여만 원의 경비가 책정되었다. 1인당 150~160만 원 정도의 예산으로 결코 적은 금액이 아니다.
태산 같은 빚으로 이런저런 예산을 삭감하고 있는 군의 재정 상황, 그리고 국가 애도기간임을 감안하여 기존 연수 계획을 대폭 축소하여 하동군 안에서 “조용히 공부만” 할 수는 없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연수를 강행하고 하루 만에 일정을 취소하며 발생한 경비는 다음과 같다.
의회가 잘못된 판단으로 군민들의 빈축을 샀던 일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8월 초, 의장단을 중심으로 의정활동용 단체복을 구입했다가 비용처리와 관련하여 ‘공직선거법 위반’혐의가 불거진 사건도 있었다.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조사에 들어가고 여론이 들끓자 글자를 새겨 넣은 남성의원들 것은 알아서 처리하기로 하고, 글자가 없는 여성의원들 것은 반납하는 등 웃지 못할 일을 벌이기도 했다.
당시 본지와의 전화통화에서 강희순 부의장은 “생각이 좀 짧아서 이런 일이 일어난 것 같습니다. 우리가 좀 신중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죄송하구요, 저희의 부족한 점을 이렇게 지적해주고 하시면 고쳐나가면서 활동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로부터 3개월 후 강행한 제주도 연수를 보면 그들이 과연 진정성 있게 반성하고 노력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11월7일, 하동참여자치연대가 국가 애도기간을 무시한 의회를 대신하여 국민께 사과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공감능력과 상황판단능력, 이 두 가지는 공동체를 이끌어가는 지도자들에게는 필수적인 것이다. 이것이 9대 하동군의회에는 절대적으로 결핍되어 있다. 거듭되는 ‘짧은 생각’과 ‘신중하지 못한 결정’으로 벌어지는 논란에 대해 의회는 말로만 사과할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